반응형

ftz 30

해커스쿨 ftz trainer10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10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10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10@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9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best! 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는 setuid에 대해 배울 것 같습니다. setuid는 root의 권한을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시를 봅시다. setuid는 파일이 실행될 때 권한을 일시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setuid는 버퍼 오버플로우에 사용되기도 합니다.버퍼 오버플로우에 대..

해커스쿨 ftz trainer9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9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9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9@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8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programming 을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는 리눅스의 권한에 대해 알아보는 단계인 것 같습니다. 많은 양의 내용이 나옵니다. 유저, 그룹, 아더, 루트에 대해 알아둡시다. id 명령을 입력합시다. uid, gid, groups 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알아둡시다. ls -al test1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해커스쿨 ftz trainer8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8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8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8@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7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player 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파일들을 만들고 컴파일하고 실행해보는 단계로 보입니다. cat 명령어를 통한 파일생성법 입니다.cat > test.tx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입력을 받게 됩니다. 아무말이나 쓰고 ctr과 d 키를 눌러줍시다. 저는 hello라는 말을 적..

해커스쿨 ftz trainer7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7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7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7@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6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to the top 을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파일의 압축과 해제를 해볼 것 같습니다. ls -al 명령어로 파일의 목록을 살펴봅니다. tar cvf songs.tar * 명령어를 통해 세개의 가사 파일을 합쳐봅시다. song.tar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설명에 나와있듯이 tar 파일은 압축된..

해커스쿨 ftz trainer6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6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6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6@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5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coffee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엔 /etc/passwd 파일을 살펴볼 것 같습니다. cat /etc/passwd 명령어를 입력하니 많은 수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분석을 해보라니 나온 한 줄을 천천히 읽어봅시다. 쭉쭉 설명을 해줍니다. 계정의 정보는 중요한 부분이니 알아둡시다.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의 ..

해커스쿨 ftz trainer5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5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5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5@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4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goodluck을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주저리주저리 적혀있네요 그냥 읽어보고 넘어갑니다. whoami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이름을 보여줍니다.이어서 id 명령어는 uid, gid, groups 정보를 포함하여 보여줍니다. ...... 많은 양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unman -a 명령어를 입력하면 한줄의 출력값이 나옵..

해커스쿨 ftz trainer4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4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4 단계입니다. ftz 서버를 실행시켜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4@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3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mungguta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엔 최상위 root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디렉토리들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cd / 명령어를 통해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ls -al 명령어를 통해 디렉토리 내부를 살펴봅시다. 엄청난 양의 내용들이 나옵니다.... ㄷ 차근차근 쭉 보면서 알아둡시다. 이번 단계는 문제가 들어있습니다...

해커스쿨 ftz trainer3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3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3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3@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2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computer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는 터미널과 네트워크에 관련된 명령입니다. w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접속해있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w 명령어를 통해 출력된 내용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천천히 읽으면서 알아둡시다.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를 읽어봅시다. fing..

해커스쿨 ftz trainer2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2 Mac 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2 단계입니다. 먼저 ftz 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 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2@서버ip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1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linuxer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접속에 성공했으면 이제 하라는 대로 하면서 익혀봅시다. pwd 명령어를 입력하니 현재 디렉토리 경로가 출력됩니다. cd .. 명령어를 치고 pwd 명령어를 입력하니 상위 디렉토리인 /home이 출력 되었습니다. cd 명령어는 체인지 디렉토리로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해주는 명령어이고그..

해커스쿨 ftz trainer1 (macOS)

해커스쿨 ftz trainer1Mac 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1 단계입니다. 먼저 ftz 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VMware fusion을 통해 red hat linux를 실행합니다. ftz의 ifconfig를 통해 ip주소를 알아둡니다. 이제 ftz서버는 그대로 두고 mac의 터미널을 열고 실행시킨 서버에 접속합니다. 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1@172.16.123.128 이라고 입력합니다. (뒷부분 ip주소는 ftz 서버에서 알아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이후의 단계에서는 trainer1 부분을 단계에 맞는 id로 변경하여 입력하고 접속합니다.) id는 trainer1로 설정했고 , pw는 welcome을 입력하여 접속합니다.(패스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