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스쿨 ftz trainer2
Mac 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2 단계입니다.
먼저 ftz 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
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 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
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2@서버ip
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1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linuxer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접속에 성공했으면 이제 하라는 대로 하면서 익혀봅시다.
pwd 명령어를 입력하니 현재 디렉토리 경로가 출력됩니다.
cd .. 명령어를 치고 pwd 명령어를 입력하니 상위 디렉토리인 /home이 출력 되었습니다.
cd 명령어는 체인지 디렉토리로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해주는 명령어이고
그 뒤의 ..은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합니다.
윈도우 폴더에서 '위로' 와 같은 기능입니다.
다시 디렉토리 안으로 들어갈때에는 cd 명령어와 함께 들어갈 디렉토리이의 이름을 붙여줍니다.
cd trainer2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시 경로가 /home/trainer2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root 디렉토리로 이동을 합니다.
cd 명령어에 /를 붙여 cd / 명령어를 입력하면 root 디렉토리로 이동을 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단계 상위 또는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것이 아닌 한번에 디렉토리를 찾아가는 방법은
cd 명령어 뒤에 해당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현재 root 디렉토리에서 처음의 trainer2 디렉토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cd /home/trainer2 와 같이 전체 경로를 입력해 줍니다.
이후의 연습은 자유롭게 하고 exit를 입력해 넘어갑시다.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방법을 배웠다면 이제는 디렉토리를 생성,삭제 하는 방법을 봅시다.
이전에 배운 ls -al 명령어를 통해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들을 봅니다.
mkdir 명령어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 입니다.
mkdir 뒤에 디렉토리 명 linuxer를 같이 입력하여 linuxer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됨을 볼 수 있습니다.
mkdir linuxer
반대로 rmdir 명령어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rmdir 뒤에 디렉토리명 linuxer를 입력하여 linuxer 디렉토리가 삭제됨을 볼 수 있습니다.
rmdir linuxer
이번에는 파일을 복사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배워 봅니다.
cp 명령어는 파일을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복사할 파일의 이름, 복사되어져 만들어지는 파일의 이름을 차례로 같이 입력합니다.
cp 복사원본 복사사본 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복사사본 파일이 복사되어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rm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을 삭제할 수 있고 뒤에 삭제할 파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rm 복사사본 명령어를 통해 파일이 삭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v 명령어는 파일을 옮기는 명령어입니다.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이름을 변경해서 복사한 후 원본을 삭제하기 때문에
이름을 바꾸기 위해 많이 사용합니다.
mv 복사원본 복사사본 명령어를 통해 복사원본은 사라지고 복사사본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해서 trainer2 단계가 끝났습니다.
'Security&Hacking > 시스템 해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커스쿨 ftz trainer6 (macOS) (0) | 2019.09.11 |
---|---|
해커스쿨 ftz trainer5 (macOS) (0) | 2019.09.11 |
해커스쿨 ftz trainer4 (macOS) (0) | 2019.09.10 |
해커스쿨 ftz trainer3 (macOS) (0) | 2019.09.10 |
해커스쿨 ftz trainer1 (macOS) (3) | 2019.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