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Hacking/시스템 해킹

해커스쿨 ftz trainer3 (macOS)

Dior2ky 2019. 9. 10. 19:26
반응형

해커스쿨 ftz trainer3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3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

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

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3@서버ip

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2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computer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는 터미널과 네트워크에 관련된 명령입니다.




w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접속해있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w 명령어를 통해 출력된 내용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천천히 읽으면서 알아둡시다.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를 읽어봅시다. 




finger -l 명령어는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지는 tty 명령어는 자신의 터미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ipconfig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지만 

unix/linux 계열은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ip를 확인합니다.




이번엔 다른 사용자들과 chating을 해봅니다.

chating을 위해서 두개의 터미널을 통해 서로 chating이 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mac의 터미널을 하나 더 실행하여 

ssh -c aes128-cbc guest@서버ip

라고 입력하여 접속하고

패스워드도 guest라고 입력하여 로그인합니다.




다시 원래의 터미널로 돌아와 w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guest라는 유저의 정보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guest라는 유저가 보이지 않는다면 

새로운 터미널에서 guest로 로그인을 잘 하였는지 확인합니다.

guest의 pts 번호를 확인합니다. 0번이네요.




<기존 터미널(trainer3)>

'write guest /dev/pts/앞서 확인한 번호' 를 입력하여 chating을 활성화합니다.

guest 사용자에게 hello hello guest라고 보냈습니다.




<신규 터미널(guest)>

신규터미널 guest 사용자가 trainer3 사용자가 보낸 hello hello guest를 잘 받았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접속한 모든 사용자에게 보내는 명령어입니다.

제대로 된 확인을 위해서는 터미널을 여러개 열어 모든 사용자에게 다 오는지 확인합니다.

(저는 하나로만 확인하겠습니다...)



wall test 라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test라는 메세지가 전송됩니다.




guest 사용자는 test라는 메세지를 받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trainer3 단계가 끝났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