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Hacking/시스템 해킹

해커스쿨 ftz trainer8 (macOS)

Dior2ky 2019. 9. 18. 18:08
반응형

해커스쿨 ftz trainer8

MacOS에서 푸는 해커스쿨 ftz


해커스쿨 ftz trainer8 단계입니다.

먼저 ftz서버를 실행시켜 줍니다.

서버 실행을 모르시는 분은 ftz trainer1 단계를 참조하세요.


Mac의 터미널을 열어 서버에 접속합니다.

명령어는 

ssh -c aes128-cbc trainer8@서버ip

라고 입력합니다.



trainer7 단계를 마치고 받은 비밀번호인 player 를 비밀번호로 입력합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파일들을 만들고 컴파일하고 실행해보는 단계로 보입니다.




cat 명령어를 통한 파일생성법 입니다.

cat > test.tx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입력을 받게 됩니다. 아무말이나 쓰고 ctr과 d 키를 눌러줍시다. 


 


저는 hello라는 말을 적어주었습니다. 

ls -al 명령어를 통해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test.txt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at test.txt 명령어를 통해 아까 작성했던 hello라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at >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새로 써내려가는 명령어입니다. 

기존에 있던 명령어를 두고 추가로 내용을 쓰고 싶은 경우에는 cat >>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at >> test.tx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사용자의 입력을 받도록 나와 i'm trainer8 이라는 내용을 적어주었습니다.

cat test.txt 명령어를 통해 내용을 확인하니 이전에 적었던 hello 에 더해 I'm trainer8 이라는 내용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소스파일을 만들어봅니다. 

cat > program.c 명령어를 입력해 소스파일의 내용을 쓰는 단계로 넘어갑시다. 




시키는 대로 소스코드를 작성해봅시다.

a에는 10을 넣고 b에는 20을 넣어 더해서 출력하는 소스코드 입니다. 




만들어진 소스파일을 컴파일하는 과정입니다. 

gcc -o program.exe program.c 를 입력하여 컴파일 해 봅시다. 




성공적으로 컴파일되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전에 배웠던 pwd 명령어를 통해 경로를 알아봅시다. 




경로와 함께 프로그램을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home/trainer8/program.exe 를 입력하여 실행해봅시다.




앞선 절대경로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현재의 경로를 사용하는 상대경로를 더많이 사용합니다. ./program.exe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앞서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rainer8 단계를 마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