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버싱 46

Lena Reversing - tutorial 10_1

Lena Reversing tutorial 10_1 이번 튜토리얼은 tutuorial09 와 마찬가지로 Visual basic으로 만들어졌다. 이를 디컴파일 하는 디컴파일러를 활용해보고 추가로 기본적인 안티 디버깅 기법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학습하는 튜토리얼이다. tutorial10은 총 세개의 샘플 파일이 있다. 이를 세번에 나누어 진행하도록 한다. tutorial10의 첫번째는 Tut.ReverseMe1 파일만을 가지고 진행한다. 이번 튜토리얼은 vb-decompiler를 사용한다. 이름에 나와있듯 디컴파일러이다. www.vb-decompiler.org/download.htm 에 가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를 받아주고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Tut.ReverseMe1 파일을 열어주자. 오..

Lena Reversing - tutorial 09

Lena Reversing tutorial 09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Visual basic에 대해 이해하고 프로그램의 시리얼 넘버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을 PEID 툴로 열어준다. Microsoft Visual Basic을 통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나온다. PEID 툴을 사용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패킹에 대해서는 나중에 나오겠지만 패킹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register 하라는 창이 나온다. 아무 값이나 넣어서 진행해보면 error가 뜬다. Ollydbg로 열어준다. 시리얼 넘버를 비교하여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열을 비교하는 함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isual basic에는 다음과 같은 문..

Lena Reversing - tutorial 08

Lena Reversing tutorial 08 이번 튜토리얼도 이전 튜토리얼들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크랙하는 단계이다. 레나에서는 W32Dasm을 통해 디버깅을 하도록 말해주고 있지만 앞으로 쓸 일이 없을 것 같은 프로그램이라 그냥 Ollydbg로 진행한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하단엔 UNREGISTERED 라는 문구가 보인다. 실행된 프로그램의 모습이다. 이전과 같이 ? 버튼을 눌러 register를 눌러준다. Register 하는 입력창이 나오게 된다. 아무 값이나 집어 넣고 OK 버튼은 누른다. 다음과 같이 오류 창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Invalid Key! 라는 문자열로 검색을 해본다. 이전과 같이 Search for -> All referenced text st..

Lena Reversing - tutorial 07

Lena Reversing tutorial 07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MrBills 프로그램을 크랙하는 것이다. 라이센스 등록을 해야 하는데 이를 우회해서 등록을 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처음 뜨는 창인데 무시해도 된다. 다음에 뜨는 창이 실제 동작하게 되는 프로그램이다. 상단에 프로그램 이름과 같이 Unregistered 라는 문자열이 보인다. 우측에 About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가 나온다. 우측 하단에는 Register... 라는 버튼이 보인다.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이메일 주소와 라이센스 번호를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아무 값이나 넣고 Register Now 버튼을 눌렀다.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이 뜨는 것을 볼..

Lena Reversing - tutorial 06

Lena Reversing tutorial 06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Unregistered program을 registered program으로 크랙하는 것이다. 그럼 우선 실행해보자. unregistered 가 눈에 보인다. 아래쪽에는 15일 남았다는 문자열도 쓰여있다. 다음창은 그냥 Cancel을 눌러 넘어가자.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상단에 Unregistered와 15일 남았다는 문자열이 보인다. Help 탭의 About을 들어가니 아래쪽에 Unregistered Version이 보인다. 이와 같은 문자열들을 없애거나 수정해 주도록 하자. Ollydbg에서 열고 문자열부터 수정해주자. 아무데서나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고 Searech for -> All referenced text strings..

Lena Reversing - tutorial 05

Lena Reversing tutorial 05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주어진 VisualSite Designer 프로그램 중 10번만 실행 할 수 있는 점을 고치고 프로그램 종료시 나오는 광고창이 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자 첫 화면에서는 하단에 시도횟수가 10번 남았다고 나온다. Start Program을 눌러보자 프로그램이 실행 된 모습이다. 앞서 나온 창을 없애고 바로 위와 같이 실행되도록 바꾸어 주어야겠다.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온다. 광고창으로 보인다. 다음의 창도 없애주도록 하자. 해당 프로그램을 Ollydbg에서 열어주었다. 실행 하여 Control + F8을 누르면 F8을 계속 누르고 있는 것 처럼 쭉 진행된다. 진행되다가 다음과 같은 Ca..

Lena Reversing - tutorial 04

Lena Reversing tutorial 04 lena reversing 네번째 튜토리얼이다.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unregistered 상태인 프로그램을 Registed 된 것 처럼 바꾸어 주는 것이다. 우선 설치 exe 파일이 존재한다. 이 파일을 실행시켜 PixtopainBook 이란 프로그램을 설치 해 주자.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다음과 같이 아무 값이나 넣어서 User를 생성해 주었다. 생성 후에는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바로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었다. 로그인 후 프로그램의 메인 화면이다. unregistered version 이라는 글씨가 상단과 중간에 보인다. 상단의 Help -> About PixtopianBook... 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여기에도..

Lena Reversing - tutorial 03_2

Lena Reversing tutorial 03 _ 2 이번엔 RegisterMe.Oops.exe 파일을 가지고 PE header를 고쳐보려고 한다. RegisterMe.Oops.exe 파일을 실행하면 이전 RegisterMe.exe 파일과 동일하게 실행된다. Ollydbg에서 실행시켜보면 다음과 같은 오류창이 나온다. 그 후에 내용을 살펴보면 익숙치 않은 내용들을 볼 수 있다. PE header를 보기 위해 상단의 M 버튼을 클릭한다. 이중 PE header 부분의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Dump를 눌러준다. 내리다 보면 다음과 같이 AddressofEntryPoint와 ImageBase 값을 볼 수 있다. 두 값을 합친 주소가 시작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00401000부분으로 이동한다. ..

Lena Reversing - tutorial 03_1

Lena Reversing tutorial 03 _ 1 lena reversing 튜토리얼 세번째이다.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기본적인 NAG 창 제거와 PE 헤더 문제이다. 우선 이번 글에서는 NAG 창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결해 보려고 한다. 파일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세개의 메시지 창이 뜨는데 가운데 있는 창 이외의 앞 뒤에 나오는 창들이 여기서 NAG로 보면 된다. NAG는 '잔소리' 라는 뜻으로 잔소리를 없애보자! Ollydbg에서 파일을 열어보았다. 쭉 내용을 살펴보면 MessageBoxA 두개가 보인다. Text 부분을 살펴보면 NAG 창의 내용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MessageBoxA 부분을 건너뛰거나 지우도록 해보겠다. 첫번째 MessageBoxA에 들어가..

Lena Reversing - tutorial02

Lena Reversing tutorial 02 lena reversing 튜토리얼 두번째이다. 이번 튜토리얼의 파일은 첫번째 튜토리얼과 내용이 같다. 이번 튜토리얼의 목적은 이전과 같이 성공 메세지를 띄우는 것이 아닌 파일에서 요구하는 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파일을 열어보면 이전과 내용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reateFileA에서 Keyfile.dat 파일을 필요로 하고 있으니 해당 파일을 아무 값이나 넣어서 생성해 주었다. 그 다음 Ollydbg에 올려 F9를 눌러 실행하니 다음과 같이 나왔다. keyfile은 인식했으나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F8을 눌러가며 진행하니 402173의 메모리주소와 16진수 10을 비교하고 있다. 그래서 402173의 메모리 주소를 가보았다. 4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