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
object는 객체를 의미하는데 앞서 나온 number, string, boolean의 단순 자료형보다 더 복잡한 자료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객체를 생성할때는 다음과 같이 중괄호를 통해 정의한다.
var a = {};
객체는 속성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각 속성은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다. 정의할 때는 속성이름:값 의 형태로 정의 한다.
속성의 값은 object를 포함한 모든 자료형이 가능하다.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의 속성에 접근할 때에는 객체 이름 뒤에 점(.)을 사용하여 접근한다.
또는 객체 이름 뒤에 대괄호 안에 해당 속성 이름을 넣어 접근 가능하다.
객체 속성 값은 일반적으로 변수에 값을 저장하듯이 변경하면 된다.
다음 두가지 경우가 있다.
undefined
시스템에서 어떤 변수나 속성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선언만 한 후 초기화를 해주지 않은 변수의 타입이나 값
또는 객체의 정의되지 않은 속성의 타입이나 값을 말한다.
null
명시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비어있는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이제 실습으로 가보면
index.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script src="lecture07.js"></script>
    </head>
    <body>
        This is a basic HTML page
    </body>
</html>
lecture07.js
var empty_obj = {};
console.log(typeof(empty_obj));
var man = {name:"홍길동", age:20, height:180};
console.log(man.name);
console.log(man["name"]);
man.name="이몽룡";
console.log(man["name"]);
man["age"] = 15;
console.log(man);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시켰다.

다음과 같이 나왔다. 코드를 작성하면서 생각해보면 객체의 속성 값에 대한 접근법을 알 수 있다.
다음 실습이다.
index.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script src="lecture08.js"></script>
    </head>
    <body>
        This is a basic HTML page
    </body>
</html>
lecture08.js
var uninitialized_var;
var obj={
            x:1,
            y:2
        };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시켰다.
이번에는 값이 출력되도록 코드를 짠게 아니기 때문에 선언만 해주고 콘솔에서 명령어를 실행시켰다.

초기화 해주지 않은 부분을 읽으려하면 undefined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Computer Science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script -6- String (0) | 2020.01.23 | 
|---|---|
| Javascript -5- 연산자, 함수 (0) | 2020.01.23 | 
| Javascript -3- number, string, boolean (0) | 2020.01.18 | 
| Javascript -2- 변수, 자료형 (0) | 2020.01.18 | 
| Javascript -1- 시작 (0) | 2020.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