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문자를 인식하지 못하고
0과 1밖에 읽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컴퓨터에게 입력을 해주기 위하여 문자를 0과 1로 이루어진 값으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한글을 코드로 바꾸기 위해서는 유니코드라는 코드가 뒤에 더 생겨났지만
가장 먼저 영어와 일부 문자들이 코드로 만들어졌고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 ASCII 코드라는 것이다.
ASCII 코드는 0번부터 127번 즉 128개의 코드이며 7bit, 7자리의 0과 1로 이루어진 것이다.
표는 다음과 같다.
문자는 제어문자, 공백문자, 기호, 숫자, 알파벳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많이 쓰는 숫자와, 알파벳 대·소문자만 따로 표시했다.
아마 이것을 찾는다면 코딩을 배우기 위해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거나
0D0A0D0A인 CRLF 와 같은 것을 보기 위해 찾아왔을 것이라 생각된다.
항상 필요할때마다 검색해서 봐야했는데 한번정도는 글로 남기면 좋을 것 같아 올린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444번 피보나치 수 6 (0) | 2021.08.31 |
---|---|
백준 1922번 쿼드트리 (0) | 2021.08.31 |
백준 1780번 종이의 개수 (0) | 2021.08.31 |
백준 2630번 색종이 만들기 (0) | 2021.08.30 |
백준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0) | 2021.08.30 |